목록수학/미적분(최적화) (3)
To love
구간 주어진 두 실수 사이의 모든 실수의 집합 닫힌구간(폐구간) 두 실수 a와 b를 포함하며, 동시에 두 실수 사이의 모든 실수 x의 집합닫힌구간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이 기호 ('[', ']')들은 두 실수 a와 b를 집합에 포함시킨다는 의미로, 대괄호를 사용하여 해당 실수를 집합에 포함시킬지 말지를 표시한다.대괄호를 사용하면 이는 구간의 끝점을 포함한다는 의미다. 열린구간(개구간)양 끝점 a와 b를 포함하지 않는 실수 x들의 집합이며 소괄호를 사용한다.즉, 한 끝점 a 앞에 소괄호를 사용하게 되면, a는 열린구간의 원소가 아니므로, a를 구간에 포함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반열린구간 (반개구간)두 구간의 조합.[a,b) 기호가 의미하는 바는 a 보다는 크거나 같고 b보다 작은 실수 x들의 집합을 ..
노름이란 벡터 혹은 행렬의 길이 혹은 크기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일종의 함수 p-노름 : x의 각 요소 x_i의 절대값의 p제곱값들을 더하고 그 결과값에 1/p 제곱을 한 결과값 1-노름 : x의 각 요소들의 절대값들의 합 2-노름(유쿨리디언 노름) : x의 각 요소들의 제곱값들을 모두 더한 후 이 값의 제곱근'유클리디언'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유클리디언 거리를 계산할 때 쓰이기 때문 무한대 노름 : x의 요소들의 절대값들 중 최대값 출처 : 데이터과학을 위한 수학기초(K-Mooc강의)
카티션 곱 A와 B의 카티션 곱은 A x B와 같이 표기첫번째 요소가 A의 원소이고 두번째 요소가 B의 원소인 모든 순서쌍들의 집합각 순서쌍은 소괄호를 이용하여 표기 예를 들어, a와 c로 구성된 집합 A와 c와 e로 구성된 집합 B의 카티션 곱은(a,c), (a,e), (c,c), (c,e)와 같은 순서쌍으로 구성된 집합각 순서쌍의 첫번째 요소는 집합 A의 원소이며, 순서쌍의 두번째 요소인 'c', 'e', 'c',' 'e' 들은 집합 B의 원소들 R^n : n 차원 실수공간을 의미. n개의 실수집합 R들의 카티션 곱의 표현식 출처 : 데이터과학을 위한 수학기초(K-Mooc강의)